PVP K-값에 따른 제품 정리
PVP의 K 값은 폴리비닐피롤리돈의 평균 분자량을 나타내는 척도입니다. K 값은 PVP 수용액의 상대 점도와 관련이 있으며, K 값이 높을수록 분자량이 크고 점도가 높아집니다. 이는 특히 의약품 및 화장품 제형에서 중요한 특성입니다.
제품명 | K Value | Viscosity Weight (wv) | Major role |
PVP K15 | 12.75-17.25 | 8000-12000 | 액상 제제의 분산제, 공용매, 결정화 억제제 등으로 사용됩니다. |
PVP K17 | 15.3-18.36 | 10000-16000 | |
PVP K25 | 22.5-27.0 | 30000-40000 | 경구 및 국소 현탁액의 안정제, 정제의 효율적인 접착제, 기공 형성제, 증점제 등에 사용됩니다. |
PVP K30 | 27.0-32.4 | 45000-58000 | |
PVP K90 | 81.0-97.2 | 1000000-1500000 | 정제, 과립, 캡슐 및 기타 의약품의 결합제, 경구 현탁액의 안정제 및 가용화제, 기타 제형의 분산제, 필름 형성 및 촉진제로 사용됩니다. |
CP | Chinese Pharmacopoeia (중국약전) | 🇨🇳 중국 | 중국 의약품 기준서. 최신판은 2020년판 (통상 5년 주기 개정). 의약품 수출 시 필수 기준. |
EP | European Pharmacopoeia (유럽약전) | 🇪🇺 유럽평의회 | 유럽 39개국이 공동 채택. EU 내 유통되는 의약품의 공식 기준. 국제 harmonization의 핵심. |
USP | United States Pharmacopeia (미국약전) | 🇺🇸 미국 | 미국 FDA 기준 약전. NF (National Formulary)와 함께 발행. 글로벌 의약품 수출입 시 가장 널리 사용. |
BP | British Pharmacopoeia (영국약전) | 🇬🇧 영국 | 영국의약품청(MHRA) 주관. 일부 영연방 국가에서도 사용. EP와 유사한 구조이나 독자 규격도 있음. |
JP | Japanese Pharmacopoeia (일본약전) | 🇯🇵 일본 | 일본 후생노동성 주관. 일본 국내 사용 의약품 기준. GMP와 연계된 시험법 중심 구성. |
정식 명칭 | United States Pharmacopeia 26 |
발행 연도 | 2003년 |
발행 기관 | 미국 약전위원회 (United States Pharmacopeial Convention, USP) |
적용 목적 | 의약품, 원료, 보조제, 식이보충제 등에 대한 품질, 순도, 정체성, 함량 기준 제공 |
국제적 영향력 | 미국 내에서 법적 기준이자, 전 세계 제약사들이 품질 기준으로 참고하는 문헌 중 하나 |